본문 바로가기
IT/Network

OSI 7 계층 (OSI 7 Layer)

by FreeYourMind 2022. 2. 11.

목적

여러 통신 업체의 장비들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

국제 표준기구 ISO에서 표준을 제시

->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

-> 통신 과정 중 각 계층마다 헤더를 붙이고 떼는 과정을 Encapsulation Decapsulation이라 함

 

 

 

1.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 

- Data를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것을 담당

- 케이블, 허브, 리피터, 무선 주파수, 핀 배치, 전압 등의 프로토콜

 

2.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

- Data의 물리적인 전송(노드 간), Error Notification(에러 검출), Flow Control(흐름 제어) 담당

- 브릿지, 스위치, HDLC, PPP, Frame-Relay, FDDI, ATM 등의 프로토콜

 

3.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 

- Packet을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길로 전송하는 것을 담당

- IP, IPX, ICMP, ARP 등의 프로토콜

 

4.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 

- Data의 용량과 전송을 담당, 

- TCP, UDP 등의 프로토콜

 

5,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
-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담당

- 네트워크 연결을 개설, 제어와 운영, 종료, 또 Application에서 들어오는 Data들을 분리해서 유지해주는 기능

- OS 등의 프로토콜

 

6.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
- Data의 형식, 압축, 암호화를 담당

- JPEG, GIF, MPEG, MIDI, RTF, ASCII 등의 프로토콜

 

7.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
-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담당

- 사용자가 실제 눈으로 보고 작업을 하는 계층

- HTTP, FTP, WWW, Telnet, SMTP, POP 등의 프로토콜

 

 

 

출처

https://jw3461.tistory.com/4

https://devbin.kr/network-osi-%EB%AA%A8%ED%98%95%EA%B3%BC-7%EA%B3%84%EC%B8%B5/

 

중요 출처

https://noahlogs.tistory.com/47

'IT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Pv4  (0) 2022.03.01
Port forwarding이란?  (0) 2022.02.26
DNS, Name Server  (0) 2022.02.17
DHCP 란?  (0) 2022.02.17
Socket, TCP/IP, UDP  (0) 2022.02.13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