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/Network

IPv4

by FreeYourMind 2022. 3. 1.

IPv4

-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

-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IP가 부족해지자 현재는 IPv6가 대중화

- 총 32비트로 구성 -> 총 2^32가짓수(약 43억개)의 IP가 존재 가능함

 

Network Address

- 세계를 기준으로 해당 subnet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기 위한 주소

 

Host Adress

- subnet을 기준으로 해당 단말기(ex: computer, device, etc...)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기 위한 주소

 

IP Class

- 기업, 정부, 기타 기관 등에게 IP를 편하게 할당하기 위해 클래스 기법을 도입했지만, A 클래스의 경우 낭비되는 host address가 너무 많아 IP 부족을 야기함 -> 현재는 CIDR이라는 좀 더 유연한 subneting 기법으로 대체

 

CIDR

- IPv4를 효율적으로 사용

- 계층적 구조를 사용하여 인터넷 광역 라우팅의 부담을 줄여줌

- / 뒤의 숫자가 network address를 지칭, 32에서 network address를 빼면 host network를 알 수 있음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출처

 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IPv4

https://korean-daeddo.blogspot.com/2015/12/ip.html

https://engkimbs.tistory.com/621

https://www.computernetworkingnotes.com/networking-tutorials/ip-address-network-address-and-host-address-explained.html

https://4880.net/network/15823?listStyle=viewer&page=1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82%AC%EC%9D%B4%EB%8D%94_(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2%B9)

https://m.blog.naver.com/sjc02183/221737556708

 

 

 

'IT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7 LB vs L4 LB (Load Balancer)  (0) 2022.03.31
3-Way Handshake란?  (0) 2022.03.29
Port forwarding이란?  (0) 2022.02.26
DNS, Name Server  (0) 2022.02.17
DHCP 란?  (0) 2022.02.17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