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/Network

L7 LB vs L4 LB (Load Balancer)

by FreeYourMind 2022. 3. 31.

L7(Application Layer) Load Balancer

- L7(HTTP, FTP, SMTP)까지 Encapsulation, Decapsulation 진행하므로 속도가 느림 

- Port와 HTTP url, header, cookie 등과 같은 payload를 분석하여 Load Balancing

- payload를 분석하기 때문에 DDoS 방어, Payload 기반 Packet Filtering도 가능

- K8S Ingress 가능

- Sticky Session 가능 (Client가 Cookie를 지원해야 함)

 

L4(Transport Layer) Load Balancer

- L4(TCP, UDP)까지 Encapsulation, Decapsulation 진행하므로 속도가 빠름 

- TCP, UDP의 Port 정보를 기반으로 Load Balancing

- 주로 Round Robin 방식 사용

 

  L7 L4
특징 Port + Payload(HTTP url, header, cookie) 기반 Packet 처리 Port 기반 Packet 처리
장점 다양한 처리 방식 지원 속도가 빠름
단점 속도가 느림, 복호화 필요 기능에 한계가 있음

 

Load Balancing Algorithm

- Round Robin : 균등 분배

- IP Hash : Client의 IP를 Hash로 Mapping

- Least Connection : 최소 접속

- Weighted Least Connections : 최소 접속, 단 각 Server에 가중치 부여

- Fastest Response Time : 최소 응답시간

- Adative : 최소 대기

 

 

출처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skddms&logNo=221525556744

https://taxijjang.tistory.com/91

https://eunhyee.tistory.com/229

https://aws-hyoh.tistory.com/entry/L4L7-%EB%A1%9C%EB%93%9C%EB%B0%B8%EB%9F%B0%EC%8B%B1-%EC%89%BD%EA%B2%8C-%EC%9D%B4%ED%95%B4%ED%95%98%EA%B8%B0

https://velog.io/@makeitcloud/%EB%9E%80-L4-load-balancer-vs-L7-load-balancer-%EB%9E%80

 

 

'IT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PN 정리  (0) 2022.04.08
3-Way Handshake란?  (0) 2022.03.29
IPv4  (0) 2022.03.01
Port forwarding이란?  (0) 2022.02.26
DNS, Name Server  (0) 2022.02.17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