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
- 웹 페이지 또는 웹 사이트 같은 UI 제공
WAS
- WEB에서 입력 받은 정보를 처리
- Business Logic 수행
DB
- Data의 저장 및 관리
1 Tier
- 하나의 서버에 WEB, WAS, DB를 전부 구성
2 Tier
- 한 서버에 WEB, WAS, 다른 한 서버에 DB를 구성
- 장애 발생 시,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음
3 Tier
- WEB, WAS, DB를 각각 다른 서버에 구성
- 각 계층을 동시에 개발 가능 -> 신속한 개발
- 필요에 따라 각 계층을 독립적으로 확장 가능
- 한 계층의 장애 발생 시,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음
- 각 계층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, 각 계층 간의 통신 과정에서 보안을 강화 가능
-> 수십 년 동안 지배적인 아키텍처였으나, 현재는 각 서비스에 맞는 다양한 아키텍처가 있음
출처
https://www.ibm.com/kr-ko/cloud/learn/three-tier-architecture
'IT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NACL, Security Group (Stateless 방화벽, Stateful 방화벽) (0) | 2022.03.01 |
---|---|
[GCP] Instance Group (0) | 2022.02.23 |
[GCP] BigQuery (0) | 2022.02.17 |
[GCP] VPC Service Control (0) | 2022.02.16 |
CI/CD가 필요한 이유 (0) | 2022.02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