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상화
- 하드웨어에 종속된 컴퓨터 리소스를 추상화하여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의 소프트웨어 IT 서비스를 생성하는 솔루션
- 하나의 서버를 논리적으로 묶어 여러 서버처럼 보이게 하거나 여러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
1. [운영체제 호환성] 1990년대의 과거에는 개발 또는 테스트를 여러 운영체제에서 하려면, 각 운영체제에 맞는 벤더 사의 하드웨어를 구매해야만 했는데, 가상화 기술로 인해 한 하드웨어 내에서도 여러 운영체제를 설치해서 개발 또는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여러 벤더 사의 하드웨어를 구매해야만 하는 비용, 유지 비용 등을 줄일 수 있음.
2. [자원 사용률] 과거에는 용도별로 서버를 구매하여 각 서버를 관리했지만, 이 경우 각 서버 자원 사용률이 낮을 수 밖에 없음, But 가상화 기술로 하나의 서버 안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돌리게 되면 필요한 서버 수도 줄어들고, 각 서버의 자원 사용률도 높일 수 있음.
가상화 종류
1. 호스트 가상화: Host OS 위에 Guest OS가 구동되는 방식
2. 하이퍼바이저 가상화
- Host OS에 하이퍼바이저(하나의 물리 리소스를 분할하여 여러 독립적인 가상환경으로 만드는 소프트웨어)를 설치하여 Guest OS가 구동되는 방식
3. 컨테이너 가상화
- Host OS 위에 컨테이너 관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OS 없이 컨테이너로 구동되는 방식
OS가 없어 오버헤드가 적어 가볍고 빠름
출처
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virtualization/what-is-virtualization
'IT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 Tier Architecture가 필요한 이유 (0) | 2022.02.21 |
---|---|
[GCP] BigQuery (0) | 2022.02.17 |
[GCP] VPC Service Control (0) | 2022.02.16 |
CI/CD가 필요한 이유 (0) | 2022.02.14 |
VM vs Container (0) | 2021.09.18 |
댓글